남기두 본지 발행인
남기두 본지 발행인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노인 연령 기준을 65세에서 70세로 상향하는 방안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2025년이면 전체 인구의 20%가 현재 연령 기준으로 노인이 되는 초고령사회가 된다"며 "그때 가서 대비책을 만들면 늦는다"고 강조했다.

박 장관의 이 같은 말은 틀리다고 볼 수 없다. 그 만큼 우리나라 고령화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필요하다.

다만 초고령사회 진입 시기와 함께 노인 연령 상향 제기는 이미 있었다는 것을 상기하면 다소 늦은감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더욱 빠른 공론화를 통해 이에 대한 대비를 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김상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이 "노인 연령 조정은 시점의 문제이지 갈 수밖에 없는 길"이라며 "불쑥 제기했다가 끝날 사안은 아니다"고 말다. 그의 말대로 시점의 문제이며 갈 수밖에 없었던 것이라면 조금 더 일찍 사회적 논의를 시작할 수 없었던 것일까.

노인 연령 기준 논의가 내달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인 가운데 어떠한 결과가 도출될지 알 수 없지만 몇 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연령을 상향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박 장관은 "노인 연령을 70세로 조정하면 2040년 생산가능인구는 424만명 늘고 고령인구는 그만큼 감소한다"며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노인 연령 기준 논의를 적극적으로 해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생산가능인구 증가와 고령인구 감소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수치에 기초한 것일뿐 이들 모두가 '고령의 생산가능인구'로 봐야 한다. 하지만 정년 연장 문제해결과 함께 당장 60대 일자리 창출 등 사회적인 변화가 수반돼야 한다.

초고령사회 진입을 6년 정도 앞두고 있다. 논의·준비·홍보·시행·사회적 인식 변화를 거치면서 다소 충분한 시간일 수 있는지 의문이다. 조금 더 일찍 논의가 됐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 이유이기도 하다.

icon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RTK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저작권자 © 알티케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