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평 16위 1군 건설사 휘청…건설업 위기감 증폭
-대부분의 건설사가 PF 리스크 안고 있어 '심각'
-정부 차원 특단의 대책 중요…민첩함도 고려해야

태영건설 여의도 사옥 전경. /제공=태영건설
태영건설 여의도 사옥 전경. /제공=태영건설

시공능력평가 16위 태영건설이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2024년 새해를 4일 앞둔 지난 28일 기업 재무구조 개선작업(워크아웃)을 신청했다. 이에 건설업계에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PF 보증 여파로 40여개 건설사가 문을 닫은 사태가 재현되는 것을 우려하며 위기감이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다.

3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태영건설은 PF 우발채무에 따른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다각도의 자구 노력을 기울였지만 결국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에 워크아웃을 신청했다.

이번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근거인 기업구조조정촉진법상 채권단 신용평가에서 C등급을 받은 회사의 경우 일정 기한 내 워크아웃을 신청해야 한다. 채권단은 태영건설이 강제 구조조정을 진행하지 않고선 회생이 어렵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태영건설 운명은 채권단에 달려 있다.

태영그룹은 워크아웃을 신청하면서 그룹 알짜 계열사 매각 방안을 채권단에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태영그룹의 주요 계열사는 태영건설 외 자산가치 4조원 규모인 환경기업 에코비트와 방송사 SBS가 있다. 이 가운데 에코비트 매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의 충격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는 분위기다. 금리 인상과 경기 불황이 지속되고 있는 요즈음 지주사로부터 시평 16위의 1군 건설사가 휘청거리는 것이 예사롭지 않다는 것이다. 이 정도 규모의 건설사가 위기를 맞을 정도면 다른 건설사들도 현재 PF 위기에서 결코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이 업계 측의 설명이다.

PF는 아파트 등을 지은 후 미래에 들어올 분양수익을 담보로 금융기관에서 사업비를 빌리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대출을 받는 주체는 전문 시행사 또는 재건축 조합 등이지만 공사를 수주한 건설사도 리스크를 일정 부문 가질 수밖에 없다. 금융사가 건설사에 연대보증을 요구하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문제는 사업 진행이 잘 되지 않아 시행사가 적정 시기에 대출금을 갚지 못하면 건설사가 대신 빚을 떠안거나 공사비를 못 받아도 건물을 100% 완공해야 하기 때문에 건설사가 서명한 PF 보증서는 빚이 될 수도 있다. 건설사 입장에선 우발채무인 셈인데 태영건설도 3조5000억원 규모의 PF 보증이 문제였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앞으로도 이와 유사한 사태는 언제든지 터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신용평가 자료를 보면 지난 6월말 기준 한신평 투자등급을 보유한 국내 건설사 15곳의 PF 보증 규모는 27조7000억원이다. 이는 2020년 16조1000억원에 비해 무려 72% 늘어난 수치다. 이 가운데 부실 위험이 높은 미착공 도급 사업장에 물린 보증 금액이 45%인 12조7000억원 수준이다.

통상 시행사나 조합은 PF 대출채권 자산을 기초로 만기가 짧은 기업어음 발행 후 만기가 다가오면 새 어음을 발행해 기존 어음을 상환한다. 건설사는 어음 발행 과정에서 신용보강을 위해 자금보충 또는 조건부 채무인수약정을 맺는다.

특히 아직 첫삽도 뜨지 않은 미착공 사업장의 경우 최근 원자잿값 급등, 분양 경기 부진 등이 겹치면 사업성이 떨어져 시행사는 어음 상환을 통한 자금 조달이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 리스크는 건설사가 떠안게 된다.

태영건설 아파트 브랜드 데시앙 로고. /태영건설
태영건설 아파트 브랜드 데시앙 로고. /태영건설

태영건설도 시장에서 소화되지 못한 상당수 어음을 직접 매입하는 과정에서 차입금이 급격하게 늘어났다. 금융당국이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시기에 건설사 발행 회사채와 건설사 보증 기반 자산담보부기업어음에 대한 어음 상환 지원 프로그램 확대 시행하겠다고 한 것은 이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이미 PF 리스크가 큰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 S사, K사 등도 PF 우발채무로 인해 제2의 태영건설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에 더 이상 건설업계의 상황이 악화하기 전 정부 차원에서 특단의 대책이 나와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PF 위기와 관련해 "질서 정연하게 PF와 건설업을 연착륙시키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업계 관계자는 "문제는 속도"라며 "정부가 앞으로 얼마나 민첩하게 대응하는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icon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RTK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저작권자 © 알티케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