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CEO 서밋 앞두고 한국 경제 전략 제시
-“자유무역시대로 돌아가기 어려워… AI·서비스 산업이 성장 동력 돼야”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26일 유튜브 채널 삼프로TV, 언더스탠딩, 압권의 연합 인터뷰에 출연해 APEC CEO 서밋의 의미를 소개하고, 한국 경제가 나아가야 할 성장 전략을 제시했다.
최 회장은 오는 28일부터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와 관련해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 주요국 정상이 모여 논의할 자리”라며 “향후 몇 년간 미중 관계와 글로벌 경제질서를 내다볼 수 있는 가늠자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APEC CEO 서밋에는 약 1,700명이 참여하며, 보호무역주의 시대의 해법을 찾는 자리”라며 “엔비디아 젠슨 황 CEO 등 글로벌 기업인들이 대거 참석한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대한상의 회장 자격으로 이번 서밋의 의장을 맡고 있다.
최 회장은 현재 한국 경제가 직면한 저성장 위기를 지적하며 “옛날처럼 WTO 체제하의 자유무역이 복원되긴 어렵다”며 “1960년대 이후 유지돼 온 수출 중심 성장 공식이 관세 장벽과 지정학적 변수로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진단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그는 한일 경제연대, 성장지향형 규제 개편, AI 투자 확대, 해외 인재유입 및 메가샌드박스 도입을 제시했다.
최 회장은 한일 경제연대를 “경제 블록화 시대의 현실적 대응책”으로 제시했다. 그는 “일본과의 협력은 약 6조 달러 규모의 경제권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라며 “세계 4위 수준의 시장 규모를 확보하면 대외 충격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규제 개혁에 대해서도 명확한 입장을 내놨다. 최 회장은 “중소기업 보호 중심의 규제는 시대착오적”이라며 “성장 잠재력을 가진 기업이 시장에서 빠르게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재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산업별 핵심 공급망 강화와 반도체 등 전략산업 중심의 맞춤형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AI(인공지능) 분야는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지목했다. 그는 “미국과 중국의 AI 경쟁은 과거 냉전시대 군비경쟁과 닮았다”며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지속되더라도 필요한 투자는 해야 한다. AI에서 뒤처지는 것은 국가적 리스크”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중장기적으로 해외 인재 유입과 지역 단위의 ‘메가샌드박스’ 제도 도입을 제안했다. “AI 실험장과 테스트베드를 지역에 구축하면 혁신의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며 “해외 인재가 국내에서 일정 기간 머물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그린카드 제도 같은 유입정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 경제가 제조업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마진이 높은 소프트웨어, 서비스, 문화 산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한식 산업화 같은 ‘소프트머니’ 영역을 키워야 한다”고 제안했다.
최 회장은 “고(故) 최종현 선대회장은 늘 ‘기업은 국가경제에 기여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며 “기업은 단순히 경쟁을 통해 이익을 내는 존재가 아니라, 공동체와 함께 성장해야 한다고 믿는다”고 덧붙였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RTK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