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전 11시 전 지역 급수 재개…수질검사 1주일간 진행
- 시 “사고 통보·밸브 차단 과정 협의 없어 단수 불가피”
- 복구 안내 미흡 인정…통보체계·밸브 절차 개선 예고

파주시 사진 제공
파주시 사진 제공

 

파주시는 16일 오전 11시를 기해 교하동·운정동·야당동·상지석동·금촌동·조리읍 등 전 지역의 수돗물 공급이 재개됐다고 밝혔다. 지난 14일 발생한 대규모 단수 사태 이후 46시간 만의 정상화다.

시는 교하·월롱배수지에서 공급되는 수돗물 수질은 기본 적합 판정을 받았으나, 관내 압력 변동으로 탁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상수도관 주요 지점과 공동주택 저수조 수질검사를 1주일간 진행한다고 안내했다.

광역상수도 누수 복구공사는 15일 새벽 1시에 완료됐고, 이후 교하배수지(3만2,800톤)와 월롱배수지(2만7,500톤)에 물을 채우는 데 시간이 걸렸다. 월롱배수지는 15일 오전 6시 30분, 교하배수지는 오전 7시 18분께 세대 공급이 가능한 수위를 확보해 인근 지역부터 순차 공급이 이뤄졌다. 공동주택의 경우 단지 저수조 충수 시간이 더 소요되면서 단지별 복구 시점이 달라졌다고 시는 설명했다.

단수 안내가 늦었다는 시민 지적에 대해 파주시는 사고 통보 지연과 협의 없는 밸브 차단이 원인이었다고 밝혔다. 한국수자원공사는 14일 오전 6시 30분 누수 사고를 내부 인지했으며, 오전 8시께 고양정수장에서 파주시로 향하는 상수도관 밸브를 별도 통보 없이 차단한 것으로 파악됐다. 파주시는 “배수지에 물을 먼저 채운 뒤 복구 공사를 진행해 달라”고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배수지 수위가 급격히 낮아지면서 단수 예고는 더 늦출 수 없었다는 입장이다.

파주시는 사고 사실조차 한국수자원공사가 아닌 환경청의 9시 50분 유선 연락으로 최초 인지했다. 한국수자원공사가 제출한 초기 보고서에도 파주시 공급 밸브 차단 사실은 기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시는 사고 인지 뒤 급수차·생수 공급, 배수지 수위 모니터링, 대응체계 운영 등을 즉시 가동했으나 초기 상황 안내가 충분하지 않았다는 점을 인정했다. 박준태 환경국장은 “시민 불편이 컸던 점을 깊이 사과드린다”며 사고 통보체계 개선, 밸브 조작 협의 절차 강화, 수질 안전성 제고 등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단수 피해보상은 한국수자원공사가 담당하며 절차는 별도로 공지된다. 복구 현황은 파주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icon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RTK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저작권자 © 알티케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